1851년 런던 만국 박람회를 위해 건설된 크리스탈 팰리스, 우리나라에서는 수정궁으로 알려져있다.
이 건물은 전시회에를 위해 보여주기 위한 건물, Pavilion, 이었기에 박람회 후에 해체 되었고, 다른 곳으로 이전되었지만 화재에 의해 소실되어 지금은 볼 수 없다.
팩스톤은 온실 디자인을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대담한 철골 구조의 수정궁을 만들었다. 이 건물을 본 관람객들은 새로운 스타일의 건물에 압도 되었고, 이 건물은 근대 건축의 시발로 여겨진다.
특히 눈 여겨 볼 부분은 재료이다. iron & glass , 철과 유리를 사용하였다. 사실 재료가 새롭다기 보다는 대량 생산에 의한, 근대의 상징이라 여겨지는 Factory로부터 생산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물품을 생산하듯 건축을 할 수 있음을 의미했고, 수정궁은 대량 생산 시대의 거대한 이정표가 되었다. 게다가 수정궁은 조립과 분해가 쉬어 '근대'의 건축이라는 말에 잘 부합하였다.
[출처] 1851년 런던 제1회 만국박람회|작성자 blog 관리대행
내부는 온실처럼 나무가 있었고, 유리로 된 외벽으로 인하여 빛이 내부로 투과하여 관람회장은 기존 건물보다 밝을 수 있었다. 유리의 Transparency 특성은 새로운 사회의 가치, 즉 공공성과 시민사회와 잘 부합하여, 이 시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재료여서 많은 이후 많은 건물에 사용되었다.
수정궁의 도면에는 다양한 아이템을 찾을 수 있게 표기 되어 어느 위치에 어떤 전시가 되고 있는지 쉽게 찾을 수 있었다. 1851년에는 이미 사진기가 발명된 상태였으로 사진으로 수정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재료에 의하여 건물 변화는 Henri Labrouste의 Bibliotheque Sainte-Genevieve, Paris, 1843-50 로 확인 할 수 있다.
현재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건물은, 오래 전 그리스 건축 처럼 Arch와 Column이 건물을 골격을 이루었다. 철을 사용하였기에 내구성은 높아지면서 굵은 column을 만들 필요는 없어졌고, 그리스 건축과 다른 분위기를 낼 수 있게 되었다.
'아트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is Renovation (0) | 2014.03.13 |
---|---|
J.L CHARLES GARNIER, THE OPERA, PARIS, 1861-75 (0) | 201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