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e theorist인 Eugene Emmanuel Viollet-le-Dec 은 근대 건축학도 들에게 필수가 되는 책인 illustration from entretiens sur l'architecture을 남겼다. 책을 통해 그는 구조적 합리주의에 관하여 언급을 하였는데, 이는 아래와 같다.
“In architecture, there are two necessary ways of being true. It must be true according to the program and tru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construction. To be true according to the program is to fulfill exactly and simply the condition imposed by need; to be true according to the methods of construction, is to employ the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qualities and properties… pure artistic questions of symmetry and apparent form are only secondary condition in the presence of our dominent principles.”
그는 기능,기술,재료에 정직한 simple한 건물을 강조하면서 기능과 상관없는 화려하거나 불필요한 장식물을 비판하였다. 이를 구조적 합리주의리라 말할 수 있는데 이는 Beaux-Art-Style, 절충/역사 주의와 반대 되는 건축 양식이다.
Eugene의 입장에서는 효율적이지 못한 절충주의 형식의 대표적인 건물은 J.L CHARLES GARNIER의 the Opera 건물이다. 이 건물은 오페라, 발레 공연 관람을 위한 용도인데 나폴레옹3세의 명령에 의해 지어졌다. 이 건물은 19세기 유행했던 건축 스타일로 매우 화려하다.
그리스 양식의 facade와 dorm의 결합은 classic스타일과 비슷하며 로코코 스타일도 살짝 엿보이고, 금 장식과 화려한 조각은 마치 바로크 시대와 같다. 이렇듯 절충주의 건축물은 여러 스타일의 혼합,절충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기능에 충실한 근대 건축의 이상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 절충주의와 비슷한 용어로 역사주의라는 말도 쓰이는데 이는 역사 속의 양식들을 가져왔다는 의미이다.
'아트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is Renovation (0) | 2014.03.13 |
---|---|
JOSEPH PAXTON, Crystal Palace, International Exhibition of London,1851 (0) | 2014.03.12 |